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570
한자 三疊石
영어음역 Samcheopseok
영어의미역 Three Story Ston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 산19
집필자 조규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암(奇巖)
높이 전체 높이 255㎝(①110㎝|②110㎝|③35㎝)
너비 지름 ①220㎝|②185㎝|③105㎝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 산19 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에 있는 기암(奇巖).

[개설]

17세기 초에 편찬된 안동 지역 지방지인 『영가지(永嘉誌)』「고적조(古跡條)」에는 “삼첩석은 부사(府司)의 문안에 있고 형태는 보릿짚 삿갓 같다. 부기(府基)의 주맥(主脈)을 누르기 위한 것이며, 이를 건드리면 관재(官災)를 입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위치]

삼첩석은 서지리 서갓마을(서간마을) 뒷산에 위치하고 있다. 서갓마을은 안동시 안막동을 지나 도산서원으로 가는 길을 따라 5㎞ 정도 떨어진 지름당고개에서 오른쪽으로 접어들면 나온다. 해발고도 165~160m에 해당한다.

[형태]

삼첩석은 모두 크기가 다른 세 개의 둥근 돌을 쌓아 올렸으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은 돌을 이용하였다. 제일 아랫 것은 직경 220㎝, 높이 110㎝, 둘째 것은 직경 185㎝, 높이 110㎝, 가장 위의 것은 직경 105㎝, 높이 35㎝ 정도이다. 전체의 높이는 약 255㎝이다.

[현황]

동쪽으로 각각 삼첩석·이첩석·성황당이 산등성이를 따라 나란히 있으며, 이첩석의 북쪽에는 모관석이 있다. 이곳에서 1960년대까지 음력 1월 14일 밤에 동제(洞祭)를 지냈다고 전한다.

[의의와 평가]

삼첩석과 이첩석은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성격을 정확히 밝히기는 어려우나 청동기시대의 태양거석문화(太陽巨石文化)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후대에 와서 마을의 허한 곳을 인위적으로 보강하는 비보적 성격을 추가시켰다고도 하였다. 따라서 삼첩석과 이첩석은 우리나라 선사시대 문화와 후대 민간 신앙의 형태를 보여 주는 중요한 유적으로서 고고학과 민속학의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