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399
한자 烽燧
영어음역 Bongsu
영어의미역 Beacon Fire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명자(역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연도/일시 조선시대
폐지연도/일시 1894년연표보기
시행처 병조|군사책임자

[정의]

조선시대 안동 지역에서 사용한 통신 수단.

[개설]

봉수는 군사적 목적에 의해 설치한 통신 수단으로 변방의 다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다. 수십 리마다 눈에 잘 띄는 산꼭대기에 봉수대를 두어,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써 신호를 보냈다. 평상시에는 횃불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3개, 적이 국경을 침범하면 4개, 전투가 벌어지면 5개로 각각 신호하여 상황을 알렸다.

봉수의 간선은 직봉(直烽)이라 하여 동북은 경흥, 동남은 동래, 서북 내륙 지방은 강계, 해안 지방은 의주, 서남은 순천을 기점으로 하고, 서울 목멱산(木覓山, 남산)을 종착점으로 하였다. 이 밖에 간봉(間烽)은 전선의 초소로부터 직봉선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거나 전선에서 직접 본진이나 본읍에 이르는 단거리의 보조선이었다.

[관련기록]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1425)에 의하면 ,안동부에는 남산(南山: 峰枝山, 府內)·신석산(申石山, 府內)·개목산(開目山, 府內)·약산(若山, 臨河縣)·감곡산(甘谷山, 一直縣)·남산(南山: 所山, 豊山縣)의 6개소의 봉수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들 봉수들은 남산봉수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곧 남산봉수는 동쪽으로 신석산봉수와 15리의 간격으로 연결되고 신석산봉수가 다시 15리 간격으로 약산봉수와 연계되어 있으며, 남쪽으로는 일직현의 감곡산봉수와 15리 간격으로, 서쪽으로 풍산현의 남산봉수와 30리 간격으로, 북쪽으로는 개목산봉수와 30리 간격으로 연결되고 개목산봉수는 다시 영천(榮川)의 소이산(所伊山: 城內山)봉수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에 의하면 안동의 봉수는 내성현의 봉화점(烽火岾: 堂北山)봉수를 포함해 7개소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는 봉화점봉수가 그 사이에 신설되었다기보다는 그것이 원격지에 위치하여 안동 지역의 봉수와 직접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봉수의 연결 상황만을 기록한 『경상도지리지』에 수록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경상도지리지』의 봉수의 연결 양상과 약산봉수가 동쪽으로 진보의 남각산(南角山)봉수와, 감곡산봉수가 남쪽으로 의성의 마산(馬山)봉수와, 풍산 남산봉수가 서쪽으로 예천의 서암산(西庵山)봉수와, 봉화점봉수가 동쪽으로 봉화의 서산(西山: 龍占山)봉수, 서쪽으로 영천의 소이산봉수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추가 기록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현황]

조선시대 봉수는 경봉수(京烽燧)·연변봉수(沿邊烽燧)·내지봉수(內地烽燧)의 세 종류로 나누어져 있다. 경봉수는 전국의 모든 봉수가 집결하는 중앙봉수로서 한양의 목멱산에 위치하여 목멱산봉수 또는 남산봉수로 불리었다. 연변봉수는 육지 및 바다의 접경 지역에 설치되었는데, 임무 수행이 가장 힘든 곳이다. 내지봉수는 연변봉수와 경봉수를 이어주는 중간봉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적으로 가장 많았다. 안동의 봉수는 내지봉수로 남산봉수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안동의 각 봉수에는 별장(別將) 2명, 감고(監考) 2명, 군(軍) 6명 등이 있으며 시설과 비품에 옹기(瓮) 5, 모래 5석, 말똥[馬糞] 5석, 목추(木椎) 15자루, 능장(稜杖) 15자루, 횃불 100자루, 연굴(煙窟) 5, 멸화자(滅火子) 5자루, 구유통(槽) 5, 물바가지(水瓢) 5자루, 대삭(大索) 1, 연초(烟草) 5단, 솥[鼎] 2좌(坐) 등이 있었다.

남산봉수는 봉지산이라고도 하며 부의 남쪽 14리에 있다. 동쪽으로 신석산의 봉화, 남쪽으로 일직현 감곡산의 봉화, 서쪽으로 풍산현 소산, 북쪽으로 개목산의 봉화를 받는다.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일직현 감산봉수와 풍산 소산봉수는 이미 폐한 듯하다.

신석산봉수는 부의 남쪽 26리에 있다. 동남으로 30리에 있는 임하현 약산의 봉화, 서쪽으로 남산의 봉화를 받는다. 약산봉수는 부에서 동으로 46리인 임하현 남쪽 16리에 있다. 동쪽으로 30리에 있는 진보현 남쪽 각산의 봉화, 서쪽으로 신석산의 봉화를 받는다.

소산봉수는 풍산현 남쪽 2리에 있다. 서쪽으로 예천군 서암산의 봉화, 동쪽으로 남산의 봉화를 받는다. 당북산봉수는 부에서 북으로 96리인 내성현(柰城縣) 남쪽 3리에 있었는데, 중간에 사태로 무너져서 현 동남 10리에 있는 건이산으로 옮겼다. 동쪽으로 봉화현 용침산의 봉화, 동북으로 30리의 순흥부 사랑당산봉수를 받는다.

개목산봉수는 부의 북쪽 29리에 있다. 남쪽으로 남산의 봉화, 북쪽으로 예안현 녹전산의 봉화를 받는다. 감곡산봉수는 부에서 남으로 30리, 일직현의 동쪽 9리에 있다. 남쪽으로 15리에 있는 의성현 마산 봉화, 북쪽으로 남산의 봉화를 받는다. 1754년(영조 30)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손진민(孫鎭民)의 청으로 설치되었는데, 각 봉대(烽臺) 성첩(城堞)의 둘레가 80보이다. 지금은 현의 뒤에 있는 성산으로 옮겼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